영주시 홈페이지 부석사 소개
신라 문무왕 16년(서기 676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한 화엄종찰 부석사는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해 국보5점, 보물4점, 도 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중 하나입니다. 사찰 앞으로 펼쳐진 자연경관을 품안에 끌어안은 모습은 마치 부처님의 온화한 자비심처럼 모든 이의 마음을 무아의 경지에 이르게 합니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으뜸 사찰입니다.
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을 펴기 위해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절은 신라 화엄종의 도량道場임에도 불구하고 본전인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주불(主佛)로 모셨고, 무량수전 앞에 안양문(安養門)을 세웠으니 『安養』은 곧 『極樂』을 일컬음이니 이 절은 바로 땅 위에 극락세계를 옮겨 놓은 격이 되는 것입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무량수전(無量壽殿)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고 합니다. 1916년 해체 보수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3년(1377) 조사당(祖師堂)이 재건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경내에는 신라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石燈)(국보 제17호),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 제220호), 삼층석탑(三層石塔)(보물 제249호), 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제255호)등이 있고, 고려시대 유물인 무량수전(無量壽殿)(국보 제18호), 조사당(祖師堂)(국보 제19호), 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제45호), 조사당벽화(祖師堂壁畵)(국보 제46호), 고려각판(高麗刻板)(보물 제735호), 원융국사비(圓融國師碑)(도유형문화재 제127호), 삼층석탑(三層石塔)(도유형문화재 제130호) 등이 있습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전시관(遺物館展示館)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부석사 가는 길은 정말 운치가 있었다.
학창시절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라고 배운 무량수전
무아의 경지라 할 만큼 정말 좋다.
소백산 기슭 부석사의 한낮, 스님도 마을 사람도 인기척이 끓어진 마당에는 오색 낙엽이 그림처럼 깔려 초겨울 안개비에 촉촉이 젖고 있다. 무량수전, 안양문, 조사당, 응향각들이 마치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나는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사무치는 고마움으로 이 아름다움의 뜻을 몇 번이고 자문자답했다.
무량수전은 고려중기의 건축이지만 우리 민족이 보존해 온 목조 건축 중에서는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건물임에 틀림없다. 기둥 높이와 굵기, 사뿐히 고개를 든 지붕 추녀의 곡선과 그 기둥이 주는 조화, 간결하면서도 역학적이며 기능에 충실한 주심포의 아름다움, 이것은 꼭 갖출 것만을 갖춘 필요미이며 문창살 하나 문지방 하나에도 나타나 있는 비례의 상쾌함이 이를 데가 없다. 멀찍이서 바라봐도 가까이서 쓰다듬어 봐도 무량수전은 의젓하고도 너그러운 자태이며 근시안적인 신경질이나 거드름이 없다.
무량수전이 지니고 있는 이러한 지체야말로 석굴암 건축이나 불국사 돌계단의 구조와 함께 우리 건축이 지니는 참 멋, 즉 조상들의 안목과 그 미덕이 어떠하다는 실증을 보여 주는 본보기라 할 수밖에 없다. 무량수전 앞 안양문에 올라앉아 먼 산을 바라보면 산 뒤에 또 산, 그 뒤에 또 산마루, 눈길이 가는 데까지 그림보다 더 곱게 겹쳐진 능선들이 모두 이 무량수전을 향해 마련된 듯 싶어진다.
이 대자연속에 이렇게 아늑하고도 눈맛이 시원한 시야를 터줄 줄 아는 한국인, 높지도 얕지도 않은 이 자리를 점지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한층 그윽하게 빛내 주고 부처님의 믿음을 더욱 숭엄한 아름다움으로 이끌어 줄 수 있었던 뛰어난 안목의 소유자, 그 한국인, 지금 우리의 머리 속에 빙빙 도는 그 큰 이름은 부석사의 창건주 의상대사이다.
이 무량수전 앞에서부터 당간지주가 서 있는 절 밖, 그 넓은 터전을 여러 층 단으로 닦으면서 그 마무리로 쌓아 놓은 긴 석축들이 각기 다른 각도와 조화시키기 위해 풍수사상에서 계산된 계획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 석축들의 짜임새를 바라보고 있으면 신라나 고려 사람들이 지녔던 자연과 건조물의 조화에 대한 생각을 알 수 있을 것 같고, 그것은 순리의 아름다움이라고 이름짓고 싶다. 크고 작은 자연석을 섞어서 높고 긴 석축을 쌓아올리는 일은 자칫 잔재주에 기울기 마련이지만, 이 부석사 석축들을 돌아보고 있으면 이끼 낀 크고 작은 돌들의 모습이 모두 그 석축 속에서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희한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최순우/학고재)"중에서-
부석
부석사 가는 길에 있는 순흥읍 내리 벽화고분
고분옆 수돗대
| ||||||||||||||||||||||||||||||
그리고 종소리, 고요. 선방에 불이 켜졌다
그리고 또 몇 해가 흘러, 이 은행나무 길을 다시 걷는다. 다들 뿌리 곁으로 돌아가 누운 계절, 힘센 가지들만 파수병처럼 늘어섰다. 어제 내린 눈은 멀리 음지에 몰려 앉아있다. 항상 이 길이 가장 좋았다. 영주 시내에서부터 버스를 타고 논밭을 지나 아주 오래된 창을 가진 낮은 마을을 지난다. 산의 모퉁이를 돌아 버스에서 내리면 알록달록한 우산 아래에 옹기종기한 사과며 산나물, 씨앗들의 가판대를 지나고, 얽어진 얼굴의 할머니들에게 새끼 새처럼 받아먹은 차가운 사과 한쪽을 씹으며 오르는 은행나무 길. 그 동요가락 같은 길 말이다. 은행나무길이 끝나면 문이다. 천왕문이 나오고 섬세하고 웅장한 석축 가운데 난 계단을 오르면 범종루의 기둥 문이, 그리고 안양루의 기둥 문이 이어서 열려있다. 안양루 아래 계단을 머리 숙여 오르면 석등 뒤로 무량수전이다. 기승전결의 파노라마. 그러나 때로, 더욱 자주 그런 교향악이 무겁다. 대규모의 산사를 찾을 적마다 대웅전을 바라보기보다 외면하게 되는 것같이. 무량수전의 왼쪽에는 의상을 연모한 당나라 여인 선묘가 바위로 화했다는 '부석'이 있고 오른쪽 둔덕에는 탑이 있다. 탑을 에둘러 다시 북쪽 산길로 오른다. 외떨어진 산속의 작은 암자 조사당으로 가는 길. 음지길, 눈길, 얼음길. 그래서 사람들의 발걸음이 적은 길이다. 조사당에는 의상대사의 영정이 있다. 7세기 후반의 부석사는 조사당을 중심으로 초가집이 몇 채 있는 아주 청빈한 양상이었을 거라는 추측이 있다. 기개 있게 뻗어 나온 맞배지붕이 소박하고 작은 건물을 당당하게 만든다. 처마 밑에는 의상 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나무로 변했다는 선비화가 촘촘한 철창 속에 숨 쉬고 있다. 누런 장삼빛 꽃이 핀다는 선비화는 국운이 흥하고 나라가 태평할 때 잎이 돋고 꽃이 핀다고 한다. 한말에서 일제 시대동안 꽃 피지 않던 것이 광복이 되자 30년만에 꽃피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다시 길을 나서 더욱 호젓한 산길을 오른다. 스산스러운 외길에는 새 발자국 하나 없이 처음 앉은 눈이 그대로 얼어붙어 있다. 조심스러운 걸음 끝에 자인당과 나란히 선 허름한 흙벽의 응진전이 있다. 응진전은 보통 나한전이라 하는데 부처님의 제자분들을 모시는 곳이다. 장짓문을 삐거덕 열면 16나한의 탱화가 어둠속에서 서서히 드러난다. 웃음을 베어 문 표정이 개구지다. 그러다 순간 눈이 번득이는 듯 했고, 어디선가 '삐이요' 직박구리 울음에 심장이 오므라든다. 장쾌한 풍경이 펼쳐진 마당 앞을 잠시 서성이다 산을 내려간다. 무량수전 옆문을 덜컹 열고 들어간다. 동쪽으로 돌아앉은 부처님. 나무와 흙으로 만들어진 금빛 아미타불(국보 제45호)이 협시보살 없이 독존으로 앉으셨다. 절을 하기 시작한다. 일 배, 안녕하세요, 이 배, 안녕하세요, 삼 배, 안녕하세요…. 백 여덟 번의 '안녕하세요'를 외치는 동안 기원할 어떠한 것도 생각나지 않았다. 오직, 휘청거리며 섰을 때의 뜨거움과 밖으로 나왔을 때의 차가움이 단순하고도 완전한 만족으로 느껴졌다. 고양이 한 마리가 한잠 들어 누웠다. 어느 곳이 가장 편안한 양지인가를 녀석은 알고 있었다. "여기서 사니?" 절간 곳곳을 제집 안마당 마냥 달리는 아이에게 묻는다. "조 밑에요. 마을에 살아요." 얼굴이 새빨간 아이는 손을 바지 주머니에 찔러 넣은 채 육각의 가르마가 다 닳아 없어진 축구공을 차고, 달리고, 통통 구르다가 석축의 가장자리에 안정감 있고, 의젓하게 앉아 어린 사슴처럼 멀리 바라본다. 해가 천천히 지고 있다. 저 아래 범종루에 늙지도 젊지도 않은 스님 뒷모습이 기둥 옆에 서서 멀리 바라본다. 천천히, 해가 진다. 나는 그들 사이에 어정쩡하게 선 채, 나로서는 감히 항해할 수 없는 사르가소 바다 같은 푸른 실루엣이 그늘진 먼데의 산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짧지만 눈부신 순간들은 멀리에 있었고 짧지만 영원한 시간은 여기에 있었다. 해는 완전히 사라졌고, 어둠이 왔고, 북 소리가 울리기 시작했다. '둥~둥~' 스님이 법고를 울리기 시작한다. 북소리에 사람들이 모여든다. 북이 운다. 고통에서 벗어나 기쁨을 가지라고. 번뇌와 망상과 집착과 오욕을 깨부수라고 북이 운다. '창, 창, 창, 창' 운판이 하늘을 깨운다. 허공에서 헤매는 이들을 위해 깨어난 하늘이 운다. '탕, 탕, 탕, 탕' 용의 얼굴을 한 목어가 물을 깨운다. 부리부리하게 눈뜬 물고기처럼, 깨어 있으라, 깨어 있으라, 어둡고 혼미한 정신을 깨우라고 차가운 물이 해일처럼 덮쳐온다. 그리고, 종소리. 고요. 차가운 돌에 앉아 한바탕 휘몰아친 세계를 느끼며 중얼거린다. 이곳은 영주 소백산 기슭의 부석사. 화엄종의 종찰. 화엄은 모든 이름 없는 꽃들의 장엄. 선방에 불이 켜졌다. |
○ 당나라 여인의 이루지 못한 사랑
부석사의 이름에 들어있는 ‘부석(浮石)’은 글자 그대로 ‘뜬 돌’이다. 부석사 창건 설화는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당나라로 유학 가 만난 선묘란 아가씨의 짝사랑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선묘는 의상을 지켜주는 수호신이 되겠다며 바다에 몸을 던졌다.
신라로 돌아온 의상은 왕명을 받고 영주 봉황산 자락에 절을 지으려 한다. 하지만 그곳 사람들의 방해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수호신으로 의상을 따르던 선묘가 바위를 공중에 들어 올려 겁을 주어 그들을 굴복시킨다. 그제야 비로소 의상은 부석사를 창건할 수 있었다.
오늘날 무량수전 옆에 있는 돌이 선묘가 들어올렸던 바로 그 돌이라고 한다. 절에 관련된 설화는 많지만, 부석사처럼 그 증거물(?)이 분명하게 남아있는 곳은 드물다. 아마도 선묘의 바위가 있는 한 부석사는 영원히 아무 걱정도 없을 것만 같다.
○ 무량수전 아래에 깃든 석룡
이번 스케치 여행은 가족과 함께했다. 네 살짜리 딸아이도 동행했다. 부석과 무량수전에 대해 이야기해 주고 싶었지만, 아이가 아직 이해할 수 없는 나이라 안타까웠다.
무량수전 기둥을 만져보던 아이가 말한다. “나무! 나무!”
그래, 부석 옆 벚나무도 나무고, 무량수전 배흘림기둥도 나무지. 나는 왜 모든 것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가르치려고만 들었던 것일까. 있는 그대로를 느껴보자. 풍경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가슴에 담아보자. 오히려 아이에게 또 하나를 배운다.
내가 부석사 절경 중 하나인 범종루 아래서 스케치를 하는 동안 아이는 내 주변을 서성였다. “지루하면 엄마한테 가 있을래?” 아이가 쪼르르 계단을 올라 사라졌다.
아이가 사라진 범종루 계단 위로 안양루와 무량수전이 선명하게 눈에 들어왔다. 600년이 넘은 목조건물(현재의 무량수전은 공민왕 7년(1358년)에 불타버린 것을 우왕 2년(1376년)에 다시 지은 것임. 안양루는 조선 후기 건물임). 여전히 창연한 빛깔과 부드러운 선이 봉황산에 겹쳐 있었다. 다시 스케치를 하다 보니 아이가 어느새 돌아와 계단에 앉아 있었다. 나는 여기저기 움직이는 아이의 모습을 종이에 담았다. 선묘도 지금 부석사 어딘가를 우리 아이처럼 돌아다니고 있지는 않을까.
전설에 따르면 선묘는 석룡(石龍)으로 변해 무량수전 아래로 들어갔다고 한다. 실제로 어느 학술조사단이 부석사 아래에 기다란 돌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 대체 사랑이 무엇이기에 선묘는 수백 년이 지나서도 이 자리를 떠나지 못하는 걸까.
문득 우리 아이가 부석사의 전설을 이해할 정도로 자라는 날, 아니 아이에게도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는 날, 그리고 아이가 엄마가 되었을 때도 다시 함께 부석사를 찾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월이 흘러 나와 아이의 모습은 변해갈지라도 수백 년 무량수전은 변함없이 그대로이겠지. 그렇게 인생의 한 계단 한 계단에서 이곳을 찾다 보면 나도, 아이도 언젠가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극락정토의 세상, 무량수전에 오르는 계단의 의미를 조금이라도 깨달을 날이 오지 않을까.
그림자가 길어지기 시작했다. 모름지기 사물의 요철(凹凸)은 환하게 내리쬐는 한낮의 태양 아래서가 아니라 그림자에 굴곡이 생기는 아침저녁 햇살 속에서 보라고 했다. 범종루 기둥에 맺힌 빛은 부석사 곳곳에 낮엔 없었던 새로운 그림들을 그려내고 있었다.
석등에 새겨진 연꽃 향기가 음영을 타고 가람 안을 진동한다. 아이는 연신 마당과 계단을 오가며 분주하다. 사뿐 발걸음을 움직이는 아이의 그림자는 의상을 따르는 선묘인 듯 한 치의 군더더기도 없이 가지런하다.
그래, 다음부터 누가 ‘부석사가 왜 그렇게 좋으냐’고 묻는다면 지금 이 순간의 풍경을 이야기해줘야겠다.
이장희 일러스트레이터 www.tthat.com
'세상이야기 > 사람사는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임하면 천전리 의성김씨종택, 귀봉종택, 백하구려 -2010/03/23- (0) | 2010.04.06 |
---|---|
소수서원 -2010/03/22- (0) | 2010.03.31 |
청도 금천면 운강고택, 선암서원 -2010/03/20- (0) | 2010.03.31 |
낙엽진 창덕궁, 규장각도 -2009/11/21- (0) | 2009.12.03 |
[스크랩]사각 옹기 김치독 된장독 옥션판매 개시 -조토 2009/10/15- (0) | 2009.10.15 |